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

섭식 장애의 치료

반응형

섭식 장애의 치료 시 우선 목표는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원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이다. 체력 소모와 탈수, 전해질 불균형의 합병증 탓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신체 상태가 아닐 경우 다른 치료 방법을 시작해도 된다.

 

행동치료

식욕부진증이나 폭식증을 나타내는 대상자의 부적응적 섭식 행동을 변화하는 노력은 폭넓게 이뤄지고 있다. 행동 수정 프로그램 수행은 대상자를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대상자 스스로가 인식해야 한다. 통제 문제는 섭식장애의 병인론에 있어 핵심 사항이며, 이 치료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대상자가 치료에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시켜야만 한다.

 식욕부진 대상자가 체중증가로 특권을 얻기 위한 계약을 한다면 치료가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상자는 치료 계획에 참여하고 어떠한 치료가 이루어지는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대상자는 섭식, 과도한 운동, 유도된 구토 유무도 조절하게 된다. 대상자와 치료자가 목표 성취의 책임 여하에 따라 치료 목표를 함께 설정하게 된다. 대상자는 체중 증가를 달성할 수 있는지와 특권을 가질지의 여부에 대한 계약을 선택할 수 있다.

 

개인치료

개인 정신 치료는 섭식장애 대상자가 내재한 심리적인 문제로 인해 부적응 행동이 일어날 경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지지 정신요법에서 치료자는 대상자가 미해결된 갈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게 하고 정서적 고통을 덜어주는 방어기전으로서의 부적합한 섭식 행동을 인식하게 도와준다. 개인치료 목표는 개인적 문제를 해결하고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적합한 대처 기전을 확립하는 것이다.

 

가족치료

섭식장애는 가족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된다. 이 장애로 인해 가족이 함께 모이는 데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가족에게 고통을 주는 결과를 낳게 된다. 적절한 중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스트레스로 인해 가족 전체의 붕괴가 일어날 수도 있다. 가족치료는 가족 구성원 개개인에 대한 치료 과정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해결점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많은 경우, 섭식장애는 가족 장애로 여겨, 가족 내 역동이 향상되지 않으면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가족치료는 증상, 원인, 치료에 대하여 가족들에게 교육하는 것이다. 가족 구성원들이 질병 발생에 기여했다는 죄책감을 인식할 경우 이러한 감정을 다루는 지지가 필요하다. 지지는 또한 감정적 문제가 있는 가족 구성원의 사회적 낙인을 다룰 경우에도 행한다.

 역기능적 가족 역동이 갈등 회피와 연관되어 있을 경우, 그 가족은 치료에 순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구성원의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을 통해 평형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가족 내 기능 역할에 중점을 두어 갈등을 조절하고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섭식장애 대상자를 가진 가족을 위한 지역사회 지지집단에 의뢰 하기도 한다. 섭식장애 대상자의 가족에게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해결과 가족의 성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약물치료

섭식장애에 특별한 치료 약이 있는 것은 아니다. 불안과 우울증과 관련된 증상에는 다양한 약물이 처방되어 왔다.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에게 fluoxetine과 clomipramine이 효과가 있으며, 특히 우울증이나 강박장애 증상을 가진 경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욕 촉진제로 사용하고 있는 Cyproheptadine와 항정신병제인 Chloropromazine(Thorazine)은 이 장애를 가진 대상자 치료에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Fluoxetine(Prozac)은 신경성 폭식증 환자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있다. 일 fluoxetine은 탄수화물에 대한 욕구를 줄여주며 그 결과 폭식 증상이 줄어들게 되고 다량의 탄수화물 소비를 촉진한다.

 

 

 

 

반응형